편의점은 꾸준한 매출과 장기적인 수입으로 현재까지도 사랑받고 있는 업종인데요. 투자여력또한 비교적 작은 편의점 창업비용 에 대하여 업체별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CU 편의점
먼저 편의점 점유율 1위인 CU편의점 입니다. 시설과 인테리어 투자주체에 따라 두가지로 구분되며 P1은 가맹점주가,P2는 CU가 인테리어와 집기비용을 부담합니다. 공통비용으로는 2200만원이 들어가며 나머지는 선택하는 버전과 점포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CU는 국내 브랜드이며, 가맹점주에게 전용 온라인쇼핑몰과 법인콘도,경조사를 지원하고 있으며 장기계약한 점주에게는 개월수에 따라 장기운영자금도 지원해주고있습니다.
2. 세븐일레븐
롯데계열사가 운영하는 세븐일레븐입니다. 공통비용은 CU와 동일하게 2200만원이 들어가며, 완전가맹형과 기본투자형에 따라 비용이 조금씩 상이합니다. 세븐일레븐은 탄탄한 계열사를 뒤에 업고있는 브랜드라 복지혜택이 좋습니다. 매출 부진점은 집중관리해주는 프로그램이 따로 있으며, 경영주 자녀지원혜택까지 주어지고있습니다.
3. GS25
GS25는 업계매출 1위를 달리고있는 편의점입니다. GS25는 계약기간이 5년으로 짧으며, 공통비용은 2270만원 입니다. GS25는 운영경력이 5년이상 경과된 경영주에한해 건강검진을 무료로 제공해주고있으며, 무료 변호사 자문서비스와 해외연수기회까지 제공해주고있습니다.
4. 이마트24 (With me)
편의점 후발주자인 이마트24는 신세계 계열사로 인기상품인 이마트 노브랜드,피코크 제품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위드미는 다른 편의점과 다르게 조금 차별화된 계약조건을 가지고 있는데요. 변동되는 로열티가 아닌 고정된 월회비를 내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또한 계약기간 내 해지시에 영업위약금이 없는 파격적인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운영시간을 협의해 정하므로 개점시간 및 휴일운영에 대해 자율적입니다. (With me 에서 이마트24로 변경되었습니다)
편의점 전망
한국의 편의점은 2016년 기존 국내 편의점 매출규모가 20조원을 돌파하는등 꾸준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특히 1인 가구가 늘어나며 마트대신 가까운 편의점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그 중 식품판매가 50% 이상을 차지하고, 만큼 앞으로 더 상승세를 탈꺼라는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정치|경제|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햇살론 추가대출자격 자세히 한번 알아봅시다. (0) | 2019.02.27 |
---|---|
바로바로론 대출조건 및 상품, 한도 정확하고 자세히 알아보자! (0) | 2019.02.22 |
바꿔드림론 자격 정확하게 알아봅시다! (0) | 2019.02.07 |
미소금융 대출자격 정확히 알고계신가요? (0) | 2019.01.16 |
댓글